2025년 6월 1째 주 미국 주식시장 주간 시황
▼ 5월26일 ~ 5월 30일 주간 증시 시황 보러가기▼
2025년 5월 26일 ~ 5월 30일 미국 증시 시황 및 주요 뉴스
이번 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EU 관세 경고, 애플 등 IT기업 타깃, 1분기 GDP 역성장 및 소비·고용지표 부진, 그리고 엔비디아 등 빅테크 실적 발표가 시장을 좌우했습니다. 변동성 확대 속
brainelevate.tistory.com
경제 호조와 정치 리스크가 혼재된 가운데 주요 지수 상승 마감
2025년 6월 첫째 주(2~6일) 미국 증시는 고용지표 개선과 미중 무역협상 재개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 다만 트럼프발 정치 리스크와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로 인해 변동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.
주요 지수 주간 성과
지수 | 주간 상승률 | 주간 마감 지수 |
S&P 500 | +1.5% | 6,000.36 |
Nasdaq | +2.2% | 19,529.95 |
Dow Jones | +1.2% | 42,762.87 |
Russell 2000 | +3.2% | 2,132.25 |
- S&P 500은 사상 첫 6,000선 돌파
-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강세 지속
- 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은 리스크 선호 회복에 가장 큰 상승폭 기록
경제 지표 및 정책 동향
고용지표 호조
5월 비농업 고용은 13만 9천 명 증가(예상: 12만 5천 명), 실업률은 4.2%로 유지되어 시장 기대를 상회. 이는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시키고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
★ 물가 및 성장률
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2.3%로 둔화
1분기 GDP 성장률은 -0.3% 역성장 (전년 말 관세 도입 전 수입 급증의 기저효과 반영)
중앙은행 동향
기관 | 조치 | 비고 |
연준(Fed) | 기준금리 4.25~4.5%로 동결 |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 유지 |
유럽중앙은행(ECB) | 0.25%p 금리 인하 | 매파적 메시지 유지 |
인도중앙은행 | 예상보다 큰 폭 인하 | 경기 부양 의지 강조 |
정치·정책 리스크
★ 트럼프 vs 머스크 공개 갈등
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 계열사와의 정부 계약 중단을 시사하며 테슬라 주가는 한 주간 14% 급락. 이후 갈등이 일부 완화되며 3.7% 반등. 정치적 불확실성이 대형 기술주에 미치는 영향이 재확인됨
▼ 일론 머스크 vs 도널드 트럼프 상세 내용 읽으러가기▼
일론 머스크 vs 도널드 트럼프, 2025년 6월 5일 공개 결별 총정리
▼ 테슬라 기업에 관해서 읽으러가기▼ 테슬라(Tesla) , 자동차를 뛰어 넘어선 AI, 로봇과 함께 공존하는 삶의 선두주자안녕하세요! 이번에 두번째로 게시하게 될 기업은 Tesla 입니다. 미국 주식에
brainelevate.tistory.com
★ 철강·알루미늄 관세 인상
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50%로 인상하겠다고 발표. 철강 관련주는 급등했으나 수입 의존 지역의 혼란, 제조업 부담 등 부작용 우려도 함께 제기
미중 무역협상 재개 예정
6월 9일 런던에서 미중 고위급 협상이 재개될 예정. 4월 관세 충돌 이후 첫 공식 협상으로 시장 기대 반영
섹터 및 종목별 주요 동향
종목/섹터 주간 흐름 주요 이슈
종목/섹터 | 주간 흐름 | 주요 이슈 |
테슬라(TSLA) | –14% 급락 후 +3.7% 반등 | 트럼프 리스크, 로보택시 불확실성 |
철강주 | +10~23% 급등 | 관세 인상 수혜: 클리블랜드-클리프스 등 |
대형 기술주 | +2% 내외 상승 | Nvidia, Alphabet, Meta 등 견조 |
할인 소매주 | 혼조 | 달러 제너럴 +16%, 룰루레몬 –19.8% |
팔란티어(PLTR) | +6.5% 상승 | 정부 계약 확대, AI 기대 반영 |
모더나(MRNA) | +5.1% 상승 | 고위험군 백신 FDA 승인 발표 |
글로벌 및 기타 이슈
글로벌 증시
MSCI 세계지수는 사상 최고치 경신. 유럽과 아시아 주요 증시도 동반 상승세
★ OECD 성장률 전망
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.9%로 하향 전망. 미국은 1.6%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측. 무역정책 불확실성과 신뢰 저하가 주요 요인
★ 제조업 부진
5월 글로벌 PMI에서 서비스업은 성장 지속, 반면 제조업은 8개월 내 최대 위축. 미국발 관세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에 부정적 영향
시장 심리 및 투자 전략
항목 | 내용 |
밸류에이션 | S&P 500은 공정가치 대비 약 3% 할인된 수준 |
투자 전략 | 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라 ETF 기반 분산투자 선호 확대 (SPY, QQQ, IVV 등) |
투자자 심리 | 상승세 지속 기대 속에서도 정치·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경계 강화 |
결론 및 투자 해석
단기 관점
경제지표 개선과 협상 기대감은 긍정적이나, 정치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둔화는 계속 주의해야 할 변수로 작용
장기 관점
정책 리스크와 실적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, ETF 분산투자와 함께 주요 경제지표 및 글로벌 정책 변화를 꾸준히 모니터링할 필요 있음